리처드 도킨스의 책이기는 하나, 도킨스가 직접 연구하여 쓴 책은 아니고 조지 윌리엄즈, 윌리엄 D. 해밀턴, 로버트 트리버즈, 존 메이너드 스미스 등의 진화생물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집대성하여 대중들이 이해하기 쉽게 쓴 책이다. 이들의 연구가 20세기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신다윈주의 이론이다. 해밀턴의 '포괄 적합도', 트리버즈의 '호혜적 이타주의', 메이너드 스미스의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 등의 개념이 핵심이며, 이들은 다윈이 설명하지 못했거나 부족하게 설명한 부분을 채워 넣으면서 대중들에게 진화론을 더욱 친근하게 널리 알렸다.학문연구의 집적과 발전적인 연구의 책을 우리가 살고 있는 인문학과 비즈니스에 적용하고저 한다.
1976년에 출간된, 영국의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의 진화생물학 교양서적. 리처드 도킨스의 여러 저작들 중에서도 가장 많이 팔렸고, 그의 저서 중 가장 큰 반향과 논쟁을 불러온 책이기도 하다. 사유의 삶에 철학적 근본을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최재천교수의 "손잡지 않고 살아남은 생명은 없다!: 이기적인 유전자를 읽고 나면 랜즈를 다시 끼는 것과 같습니다.'이기적인'은 어떤 의미인가요? 휴먼지놈 프로젝트는 시작이 되지 않았다.리처드 도킨스-유전자 하나만 보면 자기의 증식을 위해서 끝임없이 일한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이기적이다.수많은 유전자가 서로 협동해야 한다. 서로 갈등이 있다.똑같은 마음으로 같은 방향으로 일하지 않는다. .서로 엉뚱한 짓을 한다.유전자가 나이가 들면 칼슘을 아무 곳에나 같다 놓는다.젊을 때는 그렇치않은 유전자였다 .아무 곳에나 가져다 옮겨 놓으면 동맥경화.심장마비를 일으킨다. 똑같은 유전자가 누구랑 일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다르다.칼슘이 누구랑 손잡고 일하느냐에 따라 사람의 몸의 건강이 달라진다. 그들간에도 갈등이 있고 협동이 있고 그렇다.
Matt Ridley-붉은 여왕,지놈의 책,협력의 유전자 번역이 되어있다.
최재천교수는 미국에서 살 때에 <어렸을 때 입양한 아이를 시간이 흘러서 돌려 달라>는 법정의 소송에 의견서를 보낸적이 있었다. 유전적 아빠로 법정은 많이 기울었다. 누가 아빠인지 휜히 아는데 어떻게 안보내는가? 유전적 아빠-생물학적 아빠=두개는 다르다. 기르는 아빠도 생물학적인 아빠이다. 아이가 유전적인 아빠랑 있었다면 생명이 다할 수도 있었는데 생태적인 아빠를 만나서 건강하게 살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아무리 똑같이 만들어도,일란성 쌍둥이도 똑같지 않다.
윌리엄 해밀턴이 한 말이다.아무도 해독하기 어려웠다. '리처드 도킨스'가 해석하여 설명한 책이다. 윌리엄 해밀턴 교수가 담당교수가 될 뻔했는데 그 분이 미시건대학에 계실 때 그 다음해에 옥스포드로 가셔서 최재천교수는 하버드로 박사과정을 가게 되었다.
윌리엄 해밀턴교수는 개미나 꿀벌로 설명하시기로 하신다.
묘한 성결정 개작 :개미나 꿀벌사회에서는 유전자가 합하면 온전히 합하면 일개미나 여왕개미가 된다. 그러나 엄마의 유전자(미수정 유전자)만 갖고 만들면 아들이 된다.일개미가 자식을 직접 나아도 자식과의 관계는 50%만 되는데 엄마를 도와서 누이를 만들면 누이와의 유전적 연관지수는 75%가 된다.자식을 키우기보다 엄마를 도운다.자식을 안낳고 엄마를 돕는것이 유전자의 관점에서 보면 그것이 이익이고 진화이다.개체보다 유전자의 수준에서 해야한다고 도킨스가 언어로 설명을 해준 것이다.
윌리엄 헤밀턴-다윈은 자연선택을 소개하며 조금 헷갈렸다. 개체수준이 아니라 보다 많은 유전자 카피를 만들어내는 것이 이익이다.개체가 아니라 유전자가 선택의 단위이다.개체 수준으로 보면 개미가 자식을 못낳는 것을 보면 휠씬 손해인데 여왕개미 죽이면 집단이 무너진다. 우리가 사회전체가 잘못되어 무너진다.는 것에 익숙해 있다.다수중 선택,모든 수준에서 가능하다는 논쟁을 벌이는 분들도 있다. 괜찮은 사람이 모여있는사회, 기회만 되면 등처먹는 사회,개체의 사회에서 일어나는 일을 더 파고 들어가면 어떤 것이 유전자에 도움이 되었는가 내가 후세에 남는 것이 아니라 나의 유전자가 후손에 남는다.
50년간 내 책은 버텨 냈다.기본개념은 바꿀 것이 없다.이기적인 유전자인가? 협력적인 유전자인가?
악어의 입에는 먹거리가 있다.왜,아무도 악어의 입에 들어가지 않아서(블루오션)
경쟁도 협동에서 이기기 위해서 한다.바깥에는 경쟁자가 많다. 악어의 입에 들어가면 음식 찌꺼기가 있다. 악어가 양치질을 잘 안해서 먹을 것이 있다. 자원은 한정이 되어 있는데 자원을 원하는 존재는 많다.맞짱뜨는 경쟁을 우리는 너무 많이 해보았다.
제(최재천교수) 평생의 관찰-식물계와 동물계가 손 잡으면서 성장
식물계와 동물계가 손잡으면서 성장했다. 제 평생의 관찰이다. 손잡은 놈들이 손을 못잡은 놈을 밀어내고 살아남고 있다.
실제로 눈을 돌려보니 악어의 입 속에는 아무도 안들어간다. 그래서 혼자 독점한다. 경쟁안하는데 누구를 도울 일도 없다.
잠재적인 경쟁이 주변을 다 두들겨 패고 거머 쥐는 맞짱뜨는 경쟁을 너무 많이 생각하는것 아닌가? 지금까지의 경쟁에서 너무 많이 강조하지 않았는가?
코끼리 무리는 식물계를 이길 수 없다.
실제로 자연계에는 서로 돕는 경우가 너무 많다. 꽃을 피우는 식물,지구상에서 무게로 가면서 생존한 것이 꽃을 피우는 식물계입니다.그 거대한 식물계와 동물계가 손잡았습니다.=연합
살고 있는 모든 생물은 짝이 있다.남을 잡고 잡아먹는 행위의 이유는 자원은 한정되어 있다보니 생존을 위한 잠재적 경쟁이 있다.
자구상에 무게로 성장한 것이 식물이다. 식물계를 모아두면 코끼리 고래는 새발의 피다.식물계와 동물계가 손잡았다.그 거대한 식물계와 숫자로 성공한 동물계가 손잡았다.
자연계에서는 손잡은 놈들이 손을 못잡은 놈을 밀어내고 살아남은 것이다.다윈은 이론에서 경쟁을 너무 강조 하셨다. 이기적인 유전자의 협력이 필요한 이 시대의 사회이다. 우리는 지구에서 사는 다른 생물과도 공존하고 가야 우리의 생존이 가능하다.서로 죽이면서 손잡는 것이 아니라 손잡으며 연합하여 성공했다.
전문코치의 tip:
자연계 손잡은 놈들이 손을 미처 못잡은 놈을 밀어 내고 살아 남았다. 코칭의 리더십에서는 상생의 파트너십이라고 표기한다.WIN&WIN PARTNERSHIP(스티븐 스토웰박사의 원윈 파트너십 참조)
댓글